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보건증 비용, 기간, 온라인 발급 총정리!

by 그냥 생활백서 2025. 3. 26.

 

안녕하세요. 그냥 생활백서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방법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 볼께요. 특히, 카페나 음식점 또는 어린이집 조리사 등 식품 관련 업종에서 일하려면 보건증이 필수인데요. 어떻게 발급받아야 하는지, 비용은 얼마인지, 온라인 발급이 가능한지 모두 알려드릴께요.

 


 

 

보건증이란?
보건증은 식품 관련 업종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이 건강 상태를 증명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필수 서류에요.

 

1. 보건증이 필요한 사람

 

- 카페, 음식점, 분식점, 배달 전문점에서 일하는 분

- 식품 제조, 가공, 판매업 종사자

- 어린이집, 유치원 조리사

- 학교 급식실 및 단체 급식소 근무자

- 유흥업소, 술집, 노래방 종사자

 

만약 보건증 없이 근무하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될 수도 있으니 꼭 챙기셔야 해요.

 

2. 보건증 발급 방법

 

보건증은 보건소 또는 일부 병.의원에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비용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방법은 보건소에서 받는 것이랍니다. 

 

1) 검사항목 : 결핵검사(X-ray촬영), 장티푸스 검사, 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기타 감염병 여부 확인

 

2) 보건증 발급 비용 : 보건소(3,000원~5,000원) / 병.의원(10,000원~30,000원)

 

최대한 저렴하게 받고 싶다면 보건소에서 검사하는 게 좋아요.

 

3) 보건증 검사 소요 시간

검사 자체는 10분~20분 내외로 끝나지만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5~7일 정도 걸려요. 바쁘신 분들은 미리미리 검사를 받아두는 게 좋아요.

 

3.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

보건증은 발급받고 나면 직접 보건소에 가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출력할 수 있어요.

 

보건증 온라인 발급 방법(정부 24 사이트 이용)
- 정부24 사이트 접속하기
- 상단 검색창에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입력 후 검색
- 본인인증 진행하기
- 보건소 PDF 파일 다운로드 후 출력하기

 

4. 보건증 유효기관과 재발급 방법

보건증은 한 번 발급받으면 유효기간이 1년이에요. 만약, 유효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재검을 받고 새로 발급받아야 해요. 만약, 보건증을 분실했다면 정부24에서 재발급 가능합니다. 

 

 

 

5. 보건증 발급시 주의사항

 

- 보건소마다 검사 시간이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전화 문의를 꼭 하세요.

- 보건증 발급 후 근무지에 제출해야 하며, 미제출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요.

- 임산부는 X-ray 촬영이 불가하므로 병원에서 대체 검사를 받아야 해요.

 


 

오늘은 보건증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보건소와 병.의원이 검사 비용이나 시간이 조금씩 다르답니다. 정리된 내용을 참고하셔서 필요하신 분들은 빠르게 보건증 발급 받으세요.